Monday, January 30, 2012
Sunday, January 29, 2012
Gone with the Wind
Waiting for Superman, Oil Painting on Plywood, 23.5x24 inches,2011
'Gerhard Richter'의 영향을 받은 그림이라고 소개해야하나? 그림을 그리다 확 문질러 버리고 싶은 심정이 들 때가 있다. 그런 기분 가득 찼을 때, 지난 여름 만났던 화가님! 독일 분이란다. 왜 문질러야 했는지 분명히 읽는다며 밑줄 긁고 있었는디...기억력탓을 또 해야하나.
하이 힐 신은 모습을 넣어 세개의 작품을 지난학기 시작하였다. 아직도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많아 접을 수 없는 도전앞에 누구님의 말대로 그냥 한쪽 안보이는 곳에 잠시 박아 두어야 하나?ㅎㅎㅎ
누구를 따라서 확 문지른 것이 아니라, 진정 나를 두고 기차가 휙 지나가는 그 느낌을 잡아 그리고 싶었다. '조수미'의 '기차는 여섯시에 떠나네(?)' 이젠, 제목도? 하여튼 지하철, 기차 뭐 그런 것이 지나 가버린 그 기분을 나타낸 점에 있어서는 맘에 드는 비쥬얼 효과를 본 듯하다. 리처님도 지나 가버린 것을 바람처럼 휙하고 표현했다고 한다. 문질러 놓고 그를 만났다.ㅎㅎㅎ 그를 만나서 문지른 것이 아니고.ㅎㅎㅎ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나의 경우엔, 그려본 만큼 그림이 보이는 것 같다. 이 세상엔 새로운 것이 없다는 말씀이 옳다싶다. 때로는 그 누군가가 앞서 창출해 놓은 것을 나의 것으로 재창출 해내어야 하는디...끝이 없다싶다. 알면 알 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 요즈음이다.
My work,Waiting for Superman, is meant to symbolize the unstableness of psychological landscaping throughout daily life. With my own visual language I tried to explore the world as it is. I observed the sound of my mind struggling from frustrations, desires, questions, and imperfections. Though I believe the human mind is usually adept at handling extremes, I can’t help but notice the internal inconsistencies of my mind as it interprets the world.
My approach to convey uncertain struggles between my mind and the world was to use a set of colors, such as blue and gray, with unsettled harsh textures and blurring brush strokes. The objects in my painting are used to represent the inevitable choice to stand against the irresistible fear of chaos. In Waiting for Superman, the contrast between stability and instability in one person, due to the situation’s lack of clarity, presents no foreseeable outcome.
Saturday, January 28, 2012
The Edge of Wisdom
묵은 먼지를 털어내고 내가 그린 그림을 다시 보았다. 지나간 시간만큼, 그림이 달리 보이는 것 당연하지만서도......
그림을 그릴 땐, 난 심각했다.ㅎㅎㅎ 너무 심각한 것이 흠이라면 할 수 없지 않겄는가! 최근 그림들과는 달리 화려한 테크닉을 모른 나의 그림이 부족해 보이기도 하지만, 왠지 풋풋한 촌스런 순수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This work is made to portray the symbolical value of an apple, which represents the accidental spark of wisdom and the logical thinking thereof. Often than not, we identify the mean of existence of an entity with its properties, its practical value, and its metaphorical value. In order to connect with an entity such as an apple, we construct a theory upon blocks of observation and surround ourselves with books. I painted this art work, in hoping to show figurative meaning of the Edge of Wisdom.
‘The Edge of Wisdom’, Oil Painting on Canvas, 36x48 inches
Wednesday, January 25, 2012
Friday, January 20, 2012
4th Fridays
"Beside the Well", Mix Media on Canvas, 36x36 inches, 2012
"The Cleaning Room", Oil Painting on Canvas, 36x36 inches, 2011
Two works (Beside the Well,The Cleaning Room) of mine were selected by jury of 4th Fridays.
"The reception will be Jan 27 / Fri/ 6-9:00pm at The Starline Gallery + Studios in Harvard
Thursday, January 19, 2012
Monday, January 16, 2012
Before Schooling
며칠 동안 '염색'이란 단어에 집중을 했나 보다. ㅎㅎㅎ 드디어 거사를 치루었다. 나도 염색했다아아! 일월초의 첫시도는 초보자답게 실패를 했다. 열흘이 지나 흰머리가 희끗희끗 보이는 현상으로 다시 한번 스스로 연구를 해내지 않으면 안되는 경지에 이르러 공부 좀 했다. 식자우환이라고 했나? 인터넷을 뒤적거리니 식물성 염색약의 헛점을 알게 되니, 젊음을 되찾은 듯한 검은 머리 변신의 즐거움이 그만 차가워지고 만다.
처음으로 염색하던 날 친정 아부지께 전화했더니, 울 아버지도 나도 오늘 염색했단다.. 아부지도 늙고 나도 늙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그런 기분을 어찌 표현해야 할런지. 내가 철부지 젊었던 시절, 엄마가 아부지 머리에 염색을 해주던 장면이 스쳐 지나갔다. 그래 머리를 덮을 보자기가 필요하지! 준비소홀로 인한 당황스러운 상황에 떠올랐던 엄마 아부지의 정겨운 모습이 떠오르는 것이 얼마나 고맙던지...(시간이 지나면 기억력이 점점 희미해지겄지. 하긴 최근 일을 기억 못하는 것이 문제라지.) 머리에 덮을 비닐 팩을 어디서 산다지? 월맡?
세상엔 염색을 하는 이와 할 필요가 없는 없는 이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ㅎㅎㅎ 건강도 해치지 않고 젊어 보이면 좋을텐디...신달자님의 글을 읽노라니 그녀가 정말 자연스럽게 세월을 맞이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녀도 염색을 할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봤다. 왜냐면, 그녀는 늙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하여튼, 제 이차 염색시도는 성공한 듯 하다. 염색전용 샴푸를 써서 실크 같은 섬세한 내 머리 달라붙어 그만 앞머리 자르는 것 까지 스스로 용서하기로 하지만, 뒷처리가 고민이다. 검은 머리 정말 옷 입기 불편하다. 으씨 그냥 자연스럽게 내 머리로 살 걸!
대책이 안서는 머리를 위해선 얼굴에 붙은 살부터 빼서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몇 달만에 이곳 학교 체육관에 가는 것이라서, 적응력 떨어지는 소리나고 말았다. 역시나 준비물 부족으로 무식하게 운동하러 가고 말았다. 그래도 그냥 막 걸었다. 탁월한 선택이었다. 오랜만에 운동하는 사람들을 보니 기운이 솟구친다. 나도 힘받아 한시간 걸을 것을 많이 초월해서 걸었다. 집에 돌아오니 다시 밥 먹을 시간! 역시 나 밥 묵고 과일 묵고 ......ㅎㅎㅎ
내일은 학교 가는 날! 무슨 옷을 입고 간다지? 도시락은? 간만에 토마토, 양파, 그리고 아보카도 까지 썰어 냉장고에 넣어두고 내일을 기다린다. 영어는 준비했냐고? 몰러!!
처음으로 염색하던 날 친정 아부지께 전화했더니, 울 아버지도 나도 오늘 염색했단다.. 아부지도 늙고 나도 늙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그런 기분을 어찌 표현해야 할런지. 내가 철부지 젊었던 시절, 엄마가 아부지 머리에 염색을 해주던 장면이 스쳐 지나갔다. 그래 머리를 덮을 보자기가 필요하지! 준비소홀로 인한 당황스러운 상황에 떠올랐던 엄마 아부지의 정겨운 모습이 떠오르는 것이 얼마나 고맙던지...(시간이 지나면 기억력이 점점 희미해지겄지. 하긴 최근 일을 기억 못하는 것이 문제라지.) 머리에 덮을 비닐 팩을 어디서 산다지? 월맡?
세상엔 염색을 하는 이와 할 필요가 없는 없는 이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ㅎㅎㅎ 건강도 해치지 않고 젊어 보이면 좋을텐디...신달자님의 글을 읽노라니 그녀가 정말 자연스럽게 세월을 맞이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녀도 염색을 할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봤다. 왜냐면, 그녀는 늙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하여튼, 제 이차 염색시도는 성공한 듯 하다. 염색전용 샴푸를 써서 실크 같은 섬세한 내 머리 달라붙어 그만 앞머리 자르는 것 까지 스스로 용서하기로 하지만, 뒷처리가 고민이다. 검은 머리 정말 옷 입기 불편하다. 으씨 그냥 자연스럽게 내 머리로 살 걸!
대책이 안서는 머리를 위해선 얼굴에 붙은 살부터 빼서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몇 달만에 이곳 학교 체육관에 가는 것이라서, 적응력 떨어지는 소리나고 말았다. 역시나 준비물 부족으로 무식하게 운동하러 가고 말았다. 그래도 그냥 막 걸었다. 탁월한 선택이었다. 오랜만에 운동하는 사람들을 보니 기운이 솟구친다. 나도 힘받아 한시간 걸을 것을 많이 초월해서 걸었다. 집에 돌아오니 다시 밥 먹을 시간! 역시 나 밥 묵고 과일 묵고 ......ㅎㅎㅎ
내일은 학교 가는 날! 무슨 옷을 입고 간다지? 도시락은? 간만에 토마토, 양파, 그리고 아보카도 까지 썰어 냉장고에 넣어두고 내일을 기다린다. 영어는 준비했냐고? 몰러!!
Friday, January 13, 2012
Lingering Statement---Soony Eunsoon Seo
Lingering, Mix Media on Canvas, 40x40 inches, 2011
Lingering
I am interested in making art with my own voice and exploring my works by portraying my perceptions throughout my daily life. What is a new challenge to making art in a daily life? One day, I saw torn canvases which touched a recollection of my past, which is a valuable foundation to my present life. I put memories of grandmother and mother as a basis of my painting, which in turn, shapes my identity and art.
I have started to experiment with torn canvases and saw dusts, which are left-overs from art making in studio. The idea to experiment with left-over trash is connected to the daily life of my grandmother and my mother.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recycle materials for living and at the same time, to create a beautiful image for the household. My approach has been intentionally rendered to present psychological appeal produced by methods of recycling a lingering memory and art.
Sustain
Sustain
a National Collegiate Recycled art exhibition i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useum in Carbondale
February 3rd Exhibition Opens, Reception 4-7 Pm
March 9th Exhibition Closes
Three works of mine are selected by jury, the renowned recycled glass artists John Drury and Robbie Miller, a.k.a. C.U.D. for Sustain i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useum in Carbondale.
Lingering
Rooster Should Cry
The Weight of Fall
Tuesday, January 10, 2012
Still There---Soony Eunsoon Seo
In the Glove Factory#2, Oil Painting on Canvas, 36x48 inches, 2012
I like to see myself as a person who knows that life tastes like a cup of coffee. I have been married and have raised two sons. Even though I had found my place in life as a spouse, as a mother, I had wonders of why I could not be fully satisfied. ‘Why can’t I forget myself, and still be searching?’ ‘Why can’t I live a normal life as a wife of someone and as a mother of someone? What does happiness mean?’ I tried to erase the feeling of numbness and discomfort by deepening my faith in God. It is still a mystery to me if that was from the state of unknowing who I am or from striving to grasp and to understand who I am.
A little do I know, but I like to think that, through art, I have found opaque sight yet bold silhouette of the answer of who I am. What makes me to be me? The joy of reading, full heart of singing, cool breeze in the head from exercising, surely I know these gifts from life. But it was when a simple square brick came to be as my first subject to draw. The pounding sensation fuming out of my heart, after completing the drawing has been a timeless monument in my heart as an evidence of my passion for art.
I am infatuated with still-life paintings, maybe because each subject holds precious connections to a different piece of my life. Each subject has a different face, depending on how one is used or how one is needed. Many times, I’ve found myself, absorbed in searching for a story within each subject. Each one of them was once needed and desired. I remember the books that used to be good old friends to me. I remember the empty vase, because there was no money for flowers after buying foods for family. I remember the gorgeous scent of flowers once so far and so distant from me. I remember the happiness from rinsing the perfectly ripe fruits. I remember my desires, once just like those perfectly ripe apples.
As the daydreaming of becoming an artist became a distant tale, the red brick on the white paper stood still in my heart as profound pureness, and as an innocent challenge. The people who have not found themselves so excited in front a simple normal brick would not understand how exotic the brick was to me. An architect builds a tall building starting with one simple brick, as I have built myself to be who I am now from one simple brick. Not only had the brick taught me, but it also raised me, being a hard base for my zany feet. Without my first encounter with the brick, I would not be here and that I know so. Might seem worthless, might seem even ugly, but whatever it maybe, could be a start of something profound and beautiful to some, like me. As more still-life paintings I did, more truthful the idea came to me.
Maybe weary, but the brick stayed in my heart steady and content. Finally when I became a college art student and became able to paint something with meaningful intention, I put the brick once again on a white canvas. It was a message to myself “Let’s not forget the starting heart.” It may not have beautiful colors as the flowers do, it may not have the beauty of short-bloomed love as the flowers do. But I wanted to celebrate what was the first start of building the house in my heart.
After entering the art school, soon I realized that my eyes for still-life are different from the classmates’, the younger generation. I want to tell you about the first experience of using oil paint for still-life subjects. I did not take the assignment as simple something to finish for the class. I was excited to demonstrate the stories of each subject through painting. Within learning how to paint foreground, middle-ground, background I have noticed that my observation skill is different from others. Instead of good composition, what I had was how to read the special qualities each subject held. I learned to fall in love with things that are still and content. They seemed as staying in one spot, but they moved, with quiet but passionate steps, to my white canvas. And they moved my heart, as I was challenged to move others’ hearts through my paintings.
It was as I’ve learned how to find profound meanings in small, maybe somewhat petty things. The first oil paint still-life work was done with black and white paints. As I saw wrinkled fabric, I thought of my wrinkled passion and youth. When I saw a flawless surface of porcelain, I learned from the heart of a ceramic master who endlessly do and undo his work. When painting a lamp, I wondered what the source of light in my world is, and how to be the source of light in someone else’s life. I related my life into the subjects, and interpreting them as I looked for the right composition, light values, and fitting textures. If there were no memories and feelings connected with each subject, the vase would have been just a vase and the fabric would have been just a fabric. I dare to call myself one who appreciates their existences, who talks to their presences.
I remember a headless bird. It was when the first class lesson on color oil painting was held, and the bird was in the setting that we had to paint. Because my eyes were so used to the happy, warm subject setting for still-life works, I felt a little discomfort. Telling myself to search the hidden message that the professor might have had, I moved the headless bird into my work, focusing on the legs and feet that were now, seemed to me, more important than ever. On that day, I learned that the paintings are not done by head, but by heart. So excited with my newfound lesson, I asked the professor why she has chosen a headless bird. The answer was not what I hoped to hear, but my own answer has been bolded over and over as I proceed to get better. Not just with one’s eyes, but with one’s heart, one must paint.
After the headless bird, my brushstrokes became results of countless thought and fiery passion. Even after many days and years passed, I still, time to time, think about the headless bird holding on to a tree branch as hard as he could. Painting with your heart, what a lesson it was. My eyes can be weary when seeing the world. And sometimes truth becomes more vivid when one’s eyes are covered, ears sealed and mouth shut. As my days flow into the deeper abyss, the lesson from the headless bird becomes more alive to me.
After becoming a painting major student, I complete two series; Little Life #1 and Little Life#2. Surely it was a way for me to learn and to better myself by painting numerous times. But the purpose of the series was to express what I had learned from life through the optical language. Sometimes it felt as I was addicted to communicating with paintings I was working on. It was what I loved, and found myself to be good at and most of all; I found happiness while being truly myself. I want to talk about maybe a bit small and petty, but subjects that are meaningful to me as a painter.
It is not easy to choose what one should paint. But I wanted to illustrate my story through the small, little things around me. Mundane vegetables and fruits in kitchen, friendly but maybe boring kitchen utilities, always beautiful but never-lasting flowers, maybe some find them to be cliché and overdone, but I wanted to paint them nonetheless, because I found pieces of my life within them. Even though many have painted them before, I believed that I painting them give different meanings to the subjects and to me. I saw them as my teachers who could guide me and show me the bigger picture of painting.
As I paint the apples, I think of an apple I take with my lunchbox, the precious ones that I only got to eat when the guests came to the house during poor childhood days and an apple gorgeous like my desires. Sometimes the apples in my paintings talked to me in various tones, with many different stories- sometimes subtle life-changing. For instance, once I submitted a painting of apples for school auction and the painting spoke to others in such passionate voice. This put much-needed confidence in me, happiness of knowing that my paintings are wanted and desired by others as the color of apples talk to me.
Sometimes I tried to focus on the two beauties of an apple; the beauty in tasting it and the beauty in seeing it. An apple was a subject reflecting my desires. For example, I put a red apple in my work ‘Hunger’, contrasting a pile of books I have in the painting. If the books are representations of logical and defined orders and patterns of life, the apple mirrors the sensitive side of me that is somewhat illogical and indefinite.
Not just the apples, but I communicated with the vegetables everyday as well. My eyes became more aware of how each vegetable has unique colors and various shapes. The structured yet open-ended beauties of vegetables came to me in a form of sudden realization, differing from the beauties of flowers. They provide necessary nutrients and driving energy in my life, and sometimes I find them still embracing energy of life within. And through the vitality of these life-sources, I find what it is to be a mother, what it is to be a human. Maybe it was due to the busy life of an artist, a bit strayed life style, but I am certain that everyone can fin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vegetables and their hearts. I’ve seen a bud birthing through the thick layers of onions, garlic and sweet potatoes. They are alive! How can I not make them into the subjects of art, when I clearly see the magnificent beauty of green!
I am not young, and I’ve entered a road of an artist in late age. As a human, as a woman, I watch my wrinkled face on the bathroom mirror every day with a bit of sigh coming out between my lips. But I make a peace with the nature of life. In fact, I felt dutiful to portray the green, alive energy of vegetables of vegetables as a mid-age woman, because the vegetables get wrinkled, lighter as the time goes by as well. They are just like me, I tend to think. Even though I am getting old, and wrinkles come in like waves, I shall paint with all my strength and heart. ‘Got Green #1, #2, and #3’, ‘Potato Landscape’ and ‘Still There’ are the main works of mine that used the vegetables as inspirations and subjects.
‘Still There’ is a painting, illustrating a pepper wrinkling and drying into a shape of heart as the time went by. When I saw the wrinkled, heart-shaped pepper, I thought of my wrinkled youth, maybe somewhat dried passion, and living and loving continuously and still with excitement despite of aging nature. Most of all, I thought embracing all these thoughts into a part of life. Instead of thinking that lifetime is never-lasting, seeing life as an ever-changing. I wanted to think, and translate the thoughts into a work of art about how impossible it is to refuse the passing of time, how impeccable and precious changes are.
Decorating the settings with the subjects that can be found easily in daily life; flowers, vegetables, fruits, cups and porcelain, I have learned the techniques of lighting, colors, reflections, transparency, textures etc. After a while of doing so, my style changed like water flowing smoothly through cracks of rocks. I had been painting with constant, precise and direct observations, and soon I felt the needs for more than eyes for delicate lighting and an ability to capture the scene. I had already been experimenting with an idea of semi-abstract painting style. I wanted to get on a road that is not so abstract, but not so realistic either. Too realistic paintings could not interest me anymore and too abstract paintings seemed to be missing a proper wa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works of art.
After entering a graduate school, I wanted to experiment and try out new methods, which meant stalling what I had been used to and needless to say, I was afraid and hesitant. But without up-and-downs and dealing with anxieties during that time, I am certain that I wouldn’t have been able to find other possibilities for my potentials. Depressing mood while proceeding in a strange and unfamiliar road inspired me to start a series called ‘i – Sink’. Endless and bottomless depression caused me to search for a way to express my thoughts and moods through rather visual languages than direct subjects. Surprisingly, the process taught me a new ways to se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subjects- offering a new direction for my still-life paintings.
i – Sink series is a collection works that was inspired while cleaning the brushes after a hard day at the studio. My first semester in the graduate school was spent mostly on experimenting on the thoughts based around the sink-inspirations. It started with frequent frustration and constant fear that I felt after a day in the studio. ‘Am I a good painter?’ ‘Are these worth to be called great?’ The trail of thoughts soon had me once again searching for the true identity of who I am. Without portraying ‘the sink’ in direct way like I would with Still-Life paintings, I completed 16 works of art. While excited to experiment with new ideas and subjects, the amount of how much I missed the familiar subject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was impossible to describe.
Without painting a definite subject, only with patterns and textures was a new exciting challenge. But I could not go on without painting a still-life. Even though it was against the new challenge, but letting myself go with my desire for still-art, while pushing on the challenge opened the new possibilities. A giant cleaner in the sink! The cleaner was my tool to wash the despairs and depressing thoughts stained on the sink. ‘The Cleaning Room’ was a work from the times of i–Sink series, a much more Still-Life painting compared to the semi-abstract works from the time. It was inspired by my heart to clean the messy studio, as I wanted to clean my heart stained with despair and depression. The painting is one of my proudest works, winning an award in a big art show. The big cleaner in the sink inspired me to paint and the cleaner in the painting sweep depression and frustration away and rescued me from the sinking downfall.
‘Rolling in the Dark’ was also drawn in similar time, but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 wanted to portrait the dark and vivid desires in my heart through ‘Rolling in the Dark’. But while a metaphor, a simile of my life, I still wanted a painting to be open to others’ individual interpretations. The subjects were definite and easy to recognize, but I loved how unrealistic the reality I had portrayed looked. Sometimes the reality is stranger than the fiction, they say, and that’s how I felt about the work. The painting was inspired during helping out a professor. I learned that how much ability to concept a vivid setting is needed when one wants to paint a single subject.
Most of the subjects are chosen within the fence of my life. Like the rubber gloves, sometimes I choose from the nearest place of my daily life. I mixed these familiar subjects with the most familiar subject of all time, my face. By being put with me in the painting, the subjects tell the stories, illustrate the thoughts, and discuss the hidden messages that ‘I’ hope to deliver. Three of my recent works, ‘I am a lady’, ‘I hear you’ and ‘I see you’ portraits me accompanied with the tools that are now big parts of my current identity. These tool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familiar subjects from the earlier days. In ‘I hear you’ the irony was portrayed as I have an ear-protector on my head. The question I wanted to ask with the painting was ‘what could you still hear even if your ears are covered?’ The sound of irresistible truth, I say. And as an aged student, it’s hard for me to make friends with young students. The loneliness is indescribable and incredible, even when my ears are blocked from the back-talking and noise. The work was inspired by love for art, and the loneliness that comes with it.
I am changing as each moment collides with the one before, and so are my paintings. But I see that my love for still-life is evergreen. My path as a painter started with still-life and it shall be always a place called ‘home’ for me as the red brick would always have the deserving space in my heart. As a painter, desire and love for still-life is impossible to measure. I hope to paint what am me. As cliché as it might sound, I find expressing myself, searching for myself and measuring my thoughts through the works of art to be most fitting tool to seek the identity, not only to seek, but also to embrace my identity. Just to come back home, one sometimes travels to strange places, and it would be shame to see it as a waste of time. As sighs become long hauls, as the small frustrations linger around the core of my heart, my paintings gain their depths. I hope to paint strong yet delicate still-life paintings as I am learning the different ways to see the world. So in the end, I hope to learn to be strong yet delicate, as I learn how to see, how to hear and most of all how to embrace.
Saturday, January 07, 2012
The Night Garden
The Night Garden, Mix Media on Canvas, 36x48 inches, 2012
여름의 끄트머리를 잡고 시작한 그림을 겨울이 깊어 봄으로 가는 길에 서둘러 그림을 마쳤다. 스튜디오에서 나의 손길을 기다리는 것이 항상 마음에 걸렸지만, 내가 저질러 놓은 것에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상당한 시간을 쳐다 보았었다.
브러시 텃치와 라인의 움직임들이 싱싱해서 마음에 들긴 했지만, 구성면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었다. 신중한 생각으로 접근을 했음에도, 그 완성하는 과정중에 두려움을 만나든지, 아니면 다는 작품에 마음과 손이 뺏겨 완성을 못하는 경우의 예라 할 수 있겠다. 어쨋든,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은 옷이라는 소재를 새로운 접근으로 이루어 보았던 것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여름! 청춘! 낭만! 그런 등등의 단어들과 그리고 이쁜 옷에 대한 애착(?) ㅎㅎㅎ 여인으로서, 하긴 여인들도 취향이 다들 다르긴 하지만, 난 아직도 레이스 달린 옷 좋아해...핑크빛 레이스 양말로 부터해서 핑크빛 속옷으로 이어지는 뭐 그런 것...시작할 때는 뭔가 강력한 끌림이 있어 시작했는데...근디 내가 왜 그렸드라? ㅎㅎㅎ가끔 그럴 때가 있다. 지나간 삶을 쳐다보는 것 처럼!
Thursday, January 05, 2012
Still There!--------Soony Eunsoon Seo
나는 삶의 맛이 커피의 맛과 같다는 것을 아는 사람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랑을 하였고, 그리고 결혼도 하였고 그리고 아이들도 낳고 그들을 길렀다. 그러나 때론 결혼을 한 부인으로서, 엄마로서 살아가는 것, 그것들로 만족할 수 없었던 사실에 ‘왜’라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왜 난 나를 잊지 못하고 나를 찾으려 하는 것인가! 그냥 누구의 아내, 누구의 엄마로 평범하게 살 수 없는 것인지! 행복하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말이다. 신앙생활을 하며 주어진 생활에 감사함으로 내 마음속에 이는 불안감과 회의감을 잊으려 했다. 그것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는 불 정체성에서 오는 것인지 아니면 나를 알고자 했던 그 의문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직까지는 분명하게 깨달아 지지 않았지만, 그림을 그리므로 난 내 스스로에게 물었던 내가 누구인가라는 정체감의 질문의 대답을 어렴풋이 알 것만 같다.
나를 나답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책을 읽는 즐거움, 노래하는 마음, 운동이 주는 산뜻함, 세상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즐거움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처음으로 화실에 가서 앉아 흰 도화지 속에 그려 놓았던 네모난 벽돌! 그 벽돌을 바라보며 뛰었던 그 가슴 벅참은 그 어떤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시간이 흘러도 아직도 내 마음속의 잊혀지지 않는 마음속의 정물화로 남아있다.
난 정물화 그리기를 좋아한다. 그것은 아마도 사물들이 삶의 일부분으로서 내가 살아오며 간직한 추억거리들과 얽혀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물들은 제각기 필요와 용도에 따라 각자의 얼굴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나름대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품고 있기도 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였다. 사물들은 소유하고자 갈망하던 것들 이기도 하며, 그리고 때로는 간절히 필요로 했던 것들이기도 하다. 소중한 친구 같은 책, 꽃 한 송이를 사오지 못하고, 식구들 먹거리를 사야 했던 시절에 내 빈 꽃병, 보기엔 아름답지만 멀게만 느껴지던 그 향기롭고 색이 고운 꽃들, 탐스럽게 익은 과일들을 씻을 때의 싱그럽게 풍기던 행복한 내음과 사과 같은 욕망을 난 기억하고 있다.
누구나 한번쯤은 꿈꾸었을 화가가 되어 보는 것은 먼 이야기가 된 즈음에, 도전처럼 순결함으로 버팅기고 있는 흰 도화지에 그렸던 붉은 벽돌의 의미는 그 벽돌 앞에서의 흥분된 추억이 없는 사람들은 그 느낌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건축가는 벽돌 한 장으로 시작해서 건물을 들어 올리고 난 그 순간 도화지에 벽돌을 그리므로 지금의 내가 되는 주춧돌을 놓았다는 소중한 경험의 의미를 공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나를 가르쳤던 그 벽돌 아니, 나를 일으켜 세울 그 단단한 벽돌, 하찮은 벽돌이지만 큰 의미로 서 있는 그 벽돌과의 첫만남이 없었다면 난 지금의 이 자리에 있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난 잊지 않고 있다. 나의 벽돌처럼 누군가는 하나의 볼 것 없는 벽돌로 시작해서 웅장한 자신의 건물을 세워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정물화를 그리면서 깨닫게 된 하나의 시각이다
그 후로 오랫동안 나의 벽돌을 내 마음속에 있었다. 그리고 미대생이 되어 무엇인가를 의미 있게 그릴 수 있던 즈음에 난 벽돌을 넣어 그림을 그렸다. 처음 시작했던 그 마음을 잊지 말자고. 아름다운 모양을 갖춘 꽃보다 아름다운 색을 지니지 않았지만, 시간과 함께 흘러 떠나는 꽃 같은 아름다움을 지니진 않았지만 내 마음속의 집을 지을 수 있었던 그 벽돌을 나는 그림으로 기념하였다.
이곳 미국에서 미대생이 되어 수업시간에 그려야 했던 정물화의 소재들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이 젊은 친구들과 사뭇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처음으로 정물화를 유화로 그리던 첫 배움의 에피소드를 소개하고자 한다. 난 그저 수업시간에 그려내야 할 과업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각 사물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는 사실에 흥분했다. 단지 전경 중경, 후경 그렇게 유화를 어찌 그려내는 지를 배우는 과정 속에서 나의 통찰력이 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좋은 구성 보다는 그 각 사물이 갖고 있는 고유특성을 잘 읽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리고 그냥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있는 사물들의 매력에 빠지고 말았다. 그들은 그 자리에 있는 듯하였지만, 그들은 나의 그림 속으로 옮겨졌고, 나의 그림 속의 사물들은 나의 마음을 움직이고 그 경험들로 인해 나는 도전을 받아 또한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그런 그림을 그려보고 싶었다.
사소한 것들에 대한 의미 있는 발견을 한 셈이다. 구깃구깃 주름져 있던 천이 만든 형상을 보고 세상을 살아가며 구겨진 나의 열정과 젊음을 생각했고, 그리고 매끄러운 도자기를 보며, 예술로서 설 수 있는 도공의 정진하는 그 맑은 마음을 보았다. 램프를 그릴 땐, 어두움을 밝힐 그것의 존재를 나의 삶과 연관 지어 보기고 하면서 내 나름대로의 해석을 통한 그림을 알맞은 구성과 명도, 그리고 텍스쳐를 동반하여 나타내는데 열정을 다 하였다. 그것이 나의 첫 흑백 유화 정물화이다. 사물에 대한 추억과 느낌 그리고 사유하는 힘이 없었다면, 천은 천이고 꽃병은 꽃병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난 그들의 존재감을 아는 화가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물론 때때로 천은 천이고 꽃병을 꽃병이지만 말이다.
처음으로 칼라 오일 페인팅을 배울 때, 교실의 정물화 셋팅 속에서 머리 없는 새를 보았다. 아름답고 행복한 정물화에 익숙한 평범한 시각을 갖고 있던 터라, 머리가 없는 새를 그리는 것이 사뭇 마음이 불편한 것도 사실이었지만, 담담 교수님의 깊은 뜻이 있으리라 믿고, 충실히 머리가 없는 새답게 나뭇가지를 붙들고 있는 다리와 발을 온 정성을 다해 섬세하게 그려내었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 나의 깨달음은 ‘그림은 머리로 하지 않고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깨달은 자의 흥분함으로 담당 교수님께 깨달음을 신고할 겸 여쭈어 보았다. 왜 새가 머리가 없는 것인가요? 듣고 싶었던 대답을 듣지는 못했지만, 긴 시간이 흐른 후 그 머리가 없는 새의 의미를 그림에 정진하는 동안에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되었다. 화가는 눈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고 마음으로 그린다는 것을.
머리 없는 새를 그린 이후로도 난 나의 정물화들은 많은 생각거리와 나의 열정으로 붓질하여 졌다. 그리고 더 많은 시간이 흘러 머리 없어서 발로 나무를 꼭 붙들고 있었던 그 교실 속의 셋팅을 간혹 잊지 않고 생각하게 된다. 마음으로 그리라는 깨우침, 그리고 내 얼굴 속에 박혀있는 눈은 제대로 세상을 볼 수 없고, 때로는 눈을 가리고 귀가 없고 입을 다물었을 때 진실이 더욱 뚜렷해진다는 사실을 인생이 깊어진 만큼 보게 되었다.
페인팅 전공생이 되어 난 ‘Little Life#1’ 과 ‘Little Life#2’로 불리는 시리즈를 연작하였다. 물론 다른 화가들처럼 그림에 대한 공부를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많이 그려봄으로 값진 실수를 통해 진보하는 과정이기도 하였고, 또한 내가 내 삶에서 느꼈던, 혹은 말하고 싶었던 것을 시각적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목표이기도 하였다. 때로는 그냥 스스로가 만든 그림에 대한 중독 같은 열심으로 사물들을 그리며 그들을 생각했다. 그것은 내가 원하는 것이기도 하였고, 잘하는 것이기도 하였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를 나답게 만들고 행복하게 하는 것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전공생이 되어 내가 선택했던 사소 하지만 의미 있는 사물들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자 하는 사물들을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난 나의 하루에서, 나의 주변에서 나의 삶과 연관 되는 것들로부터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했다. 부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채나 과일, 그리고 주부로서 언제나 친숙한 부엌용기들, 그리고 언제나 아름다운, 영원할 수 없어 아름다운 꽃도 누가 뭐라 해도 그려보고 싶었다. 많은 사람들이 꽃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사과를 그릴지라도 나의 손으로, 나의 서성임으로 나의 시간을 들여 그려보는 것은 경험해 볼만한 것이라 확신했고, 나 스스로를 가르친 수 있는 좋은 선생님들이라 확신하고 도전하였다.
너무도 빠르게 변하는 꽃을 그리며 많은 한숨을 내쉬었지만, 더 많은 연습이 필요로 하는 것을 깨달았고, 그리고 꽃을 꽃답게 하는 것을 생각해 보았다. 한 송이 꽃을 피우려고 잔뿌리를 어두운 곳에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하늘로 향해 뻗어 올리고, 뜨거운 햇살과 비바람을 맞으면서도 주저하지 않고 피고야 마는 꽃! 내 앞에 고운 색으로 각자의 고유한 모양으로 서 있는 꽃을 그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나 또한 꽃을 그리기 위해 사유함과 서성임으로 그리고 수 많은 시행착오를 하며 가끔 내 마음속의 꽃과 일치를 볼 때가 있기도 하다. 나에게 있어 꽃은 무엇인가? 아마도 내가 그림을 그려 누군가에 보여주는 그 순간이 내 일련의 수고와 노고가 찬란하게 꽃피워지는 순간이 아니었나 싶다. 꽃은 쉽게 시들었다. 영원하지 않기에 더욱 아름다운 꽃을 아직도 나에게 도전적인 마음을 일으킨다. 수 많은 화가들이 꽃을 그리고 꽃을 그리는 것이 흔하여 독창적인 일이 아니 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나에겐 아직 도전이며 질리지 않는 아름다움이다.
이 세상을 바꾼 세 개의 사과, 말하자면, 뉴턴의 사과, 세잔느의 사과 그리고 이브의 사과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사과 또한 나를 바꾼 커다란 의미이다. 수 많은 다양한 색을 입고 있는 사과의 다양한 색뿐만 아니라, 안은 어찌 한가! 어느 날 난 사과가 무엇인가라는 실질적인 답을 보기 위해 칼로 사과를 반으로 자른 적이 있다. 사과를 채우는 달콤한 속살과 그리고 사과를 사과답게 만드는 검은 씨가 박혀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었지만, 사과를 사과답게 만드는 것은 겉과 안의 총체적인 이해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늘날, 학교 도시락에 함께 가져가는 사과, 가난한 어린 시절 손님이나 오는 날에 깎아 내었던 그 향기 나는 사과, 나의 엄마가 가장 좋아하는 사과, 그리고 욕망처럼 예쁜 사과! 난 사과를 내 페인팅에 그렸다. 나는 사과를 그렸지만, 내 그림 속에 있는 사과는 때론 다양한 말을 한다. 그리고 그 사과가 내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학교 도네이션 옥션에 사과 그림을 제출 하였을 때, 나의 그림이 남들과 열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보았고, 그것은 내가 그리고 있는 그림에 대한 자신감을 북돋아주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난 그 사과그림 때문에 누군가가 나의 그림을 갈망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화가 지망생으로서 커다란 행복감을 맛보기도 하였다.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한 그 두 가지의 매력을 다 가지고 있는 사과를 ‘욕망’의 대상으로 연결하여 그림을 그려보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hunger’의 몇 작품 속에 책과 대치되어 놓여 있는 붉은 사과가 그것이다. 책들이 나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질서를 지켜주는 것이라면, 사과는 나의 감수성과 감정 그리고 비논리적이고 도무지 알 수 없는 욕망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사물이었기에 선택을 하였고 기쁘게 그렸다.
사과뿐만 아니라, 날마다 접하는 야채들도 제각기 말을 한다. 그들은 각자의 다양한 모양과 색 그리고 향기를 가지고 있다. 야채들이 가지고 있는 형태와 색에 눈을 열게 되었다. 요리를 하다가, 갑작스럽게 느껴지는 그들의 조직적이고도 매력적인 모습에 눈을 뜨게 된 것은 꽃을 배우고 깨우친 것과 사뭇 다르다. 내 삶의 실질적인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먹거리들에 대한 감사함으로 때로는 생명을 품고 있는 야채들의 모습을 보면서 사는 것이 무엇인가를 깨닫기도 하였다. 바쁜 예술학도의 삶에서 비롯된 알뜰하지 못한 삶의 그늘진 곳에서 생긴 일이기도 하지만, 누구나 한번쯤은 그런 모습을 보았으리라 생각한다. 양파가 싹이 나고 마늘이 싹이 나고 감자가 싹이 나고 고구마가 싹이 나는 광경을 나의 부엌에서 보았다. 그들은 살아 있었다! 시들 시들해지면서도 기꺼이 밀어 올리는 푸른 생명력을 보고 어찌 그들을 그리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난 젊지 않은 나이에 화가의 길로 들어선 사람이다. 한 인간으로서 여자로서 주름지는 모습을 거울 앞에서 보는 것은 그리 즐거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주름지지 않고 살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 난 그들이 주름져 가면서도, 가벼워 져가면서도, 그들 안에 들어있는 수분을 밀어 올려 푸른 생명력을 들어 올리는 광경이야 말로 중년 여인이 그려내야 할 사무라 생각했다. 어쩌면 그들이 나와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다. 내 비록 주름지고 늙어 가지만 있는 힘을 다하여 그림을 그리고 말 테다 하는 다짐이기도 하였다. 내 작품 명을 말하자면, ‘Got Green#1,2,3’ 등의 연작이 있으며, ‘감자 풍경화’와 ‘Still There’ 작품 또한 야채를 다룬 작품들이다.
‘Still There’란 작품은 ‘고추’를 대상으로 그린 작품인데, 고추가 시간과 함께 마라 비틀어지면서 사랑을 뜻하는 러브의 형태로 주름지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서 만든 작품이다. 시간과 함께 주름져가는 나의 젊음 아니면 나의 열정, 나아가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지 등의 생각들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고 사랑하는 것 그것이 삶의 한 부분이 아닐까 하는 시간을 가진 작품이기도 하다. 삶이 영원하지 않다는 허무함 보다는 삶이 변해간다는 것에, 그리고 그 거부할 수 없이 시간과 함께 변해가는 중에도 언제나 내재하고 있는 그것을 생각하고 싶었다.
‘Tomato blues’란 작품은 토마토가 비바람에 쓰러지며 여물기까지, 상처를 기꺼이 치유하며 만든 그 얼기설기 메우어 만든 다리 같은 흉터 자국에 영감을 얻어 시작한 작품으로, 사람과 사람이 얽혀 살아가는 모습의 한 면을 그려 본 작품이다. 살아가다 보면 누구나 상처를 주고 받고 사는 것 피할 수 없는 것 모르는 것 아니지만 말이다. 나 또한 못생긴 토마토를 파머스 마켙에서 보았을 때, 사람들로부터 상처를 받고 있는 터라 그래서인지 무척이나 그 못생기고 흉터 강한 토마토에 끌려 상처받은 자의 고통을 같이 아는 양 그림을 그렸다.
난 비전통적인 화가 지망생, 즉 나이 숫자 많은 예술을 공부하는 학생이다. 그것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기도 하다. 이곳 미국에서의 나의 학교생활에서의 정체감은 주로 그 두 가지 큰 조건에서 비롯되는 것 같다. 그 언어가 원활히 소통되지 못하므로 맛보았던 억울함과 갑갑함, 때로는 그런 것들이 나를 화나게 하기도 하고 눈물짓게도 하였다. 물론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타국에서 느껴야 했던 그 별난 고독감은 더 큰 것 이지만 말이다. 그러나 그 쓴맛 어린 시간에 생각한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운동, 얼굴에 입술을 움직여 만들 수 있는 웃음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웃음이 들어있는 스마일 도자기를 그림으로 내 스스로의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경험을 맛보았다. 누군가의 도움으로 인해 나의 어깨에 무겁게 내려앉는 스트레스를 해결한 것이 아니고, 스스로 나의 그림을 그림으로 스트레스로 막힌 벽으로 둘러 쌓인 슬픈 방에서 탈출하게 된 경험이기도 하다. 어쩌면 그림을 그리는 일이 나에겐 명상이며 기도이기도 하다. 남을 탓할 것이 아니고 내 안의 내공을 더 튼튼하게 갖춤으로 스스로의 부족함을 강함으로 바꿀 수 있었던 내 그림이 날 치유했던 경험중의 하나이다.
난 이십 사년 전 한국에 있는 ‘전남대학에서 국어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이곳 미국의 남쪽 작은 소도시 ‘카본데일’이라는 곳에서 중년을 넘어선 나이에 화가가 되었다. 좋은 글이란 사람들에게 좋은 생각거리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 좋은 생각거리로 각자의 삶을 밝힐 수 있는 것이라 믿어왔다. 그리고 나의 그림 또한 사람들에게 좋은 의미로 다가갔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그와 함께 이곳에서 의미 있었던 추억이라면, 땅을 파고 씨를 뿌리고, 혹은 나무를 심었던 일이다. 꽃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잡초를 제거하고 꽃을 괴롭히는 벌레를 막아주는 일련의 관심 깊은 과정을 통한 구체적이고도 노고로운 과정을 지나 꽃을 보았던 추억이다. 나의 정원에서 자라난 꽃들이기에 그 수고로운 만큼의 더욱 소중하고 아름다웠던 그들을 난 기념하였다.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다운 내 열정 같은 붉은 장미뿐만 아니라 이른 봄을 열었던 노랗게 열었던 부드럽지만 강했던 수선화, 살사 춤을 추는 인생이 낭만이 느껴지는 아이리스, 단단한 줄기와 꽃잎이 구조적인 글래이드, 이웃집 정원에 탐스럽게 머리 무거워 고개 숙인 피오니, 꽃을 그리고 싶은 마음을 저항할 수 없어 난 그들을 그리고 말았다. 그리하여 그 일련의 시리즈들은 ‘irresistable’이란 주제로 진행 중이다.
일상의 소재들, 즉 꽃, 야채, 과일, 접시, 도자기, 컵 등등의 일상적인 소재들을 다른 정물화들을 셋팅을 하여 빛과 색, 리플렉션, 트랜스 페런시, 텍스쳐 등등의 테크닉을 연마한 후 나의 그림은 물이 흐르는 것처럼 변화해야 했다. 그 동안 직접적인 관찰로 통해 그림을 그렸다면, 직접 보고 그림으로 해서 파악할 수 있었던, 그 사실감과 현장감 그리고 섬세한 빛에 대한 지각력 등등의 것 이외에도 난 그 이상이 필요함을 느꼈다. 이미 그때도 나의 그림은 ‘세미 업스트렉’이라는 방향을 잡고 있었다. 너무 사실적이지도 않고 너무 추상적이지도 않는 그 길에 서고 싶었다. 너무 사실적인 그림처럼 그리는 것은 나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추상화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쉽지 않다는 것이 나의 주된 생각이었다.
대학원에 진학을 한 후로 무엇인가 새롭고 실험적인 것을 찾아 정진하였다. 그 과정은 내가 잘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이기도 했기에 이루 말할 수 없는 두려움과 저항감이 나를 사로잡았다. 그 때의 좌절과 그때의 엔자이어티가 없었다면, 또 다른 나의 가능성을 발견하지는 못했을 것이라 확신한다. 내가 가지 않았던 낯선 길을 가며 느꼈던 우울감이 오히려 계기가 되어 ‘i-Sink’ 시리즈를 만들며 끝없이 가라앉는 우울감속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것은 사물을 그리지 않고 어떻게 나의 생각을 시각언어로 표현해 낼 수 있는가 하는 것에 도전이었으며, 그로 인해 오히려 사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졌으며, 나의 정물화는 새로운 방향을 잡아 가고 있음을 확신한다.
대학원 첫 학기에 이루어낸 ‘i-Sink’ 는 그림을 그리고 난 후 붓을 씻다가 영감을 얻어 시작한 추상화 시리즈이다. 싱크대 속으로 씻겨 들어가는 물감들을 보며 보 잘 것 없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듯한 좌절감과 두려움을 보았던 그 순간에서 동기가 시작되었지만, 그것은 결국 내가 누구인가라는 정체감과 깊게 관련되어 있는 개인적으로 기록할만한 출발이기도 하였다. 결국 사실적인 싱크대를 그리지 않고도 열 여섯 개의 작품을 연작을 하였다. 그 새로운 것에 대한 실험적인 그림들을 그리는 동안 익숙한 사물에 대한 그리움이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패턴과 텍스쳐만 있는 그림을 그려놓고 결국 난 나의 사물들을 그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내가 선택한 새로운 도전에 대한 어긋남이었지만, 그것을 허용함으로 다른 가능성을 얻게 되었기 도 하였다. 싱크대의 거센 솔! 바로 이 솔이야말로 내 안의 싱크대 속에 찌든 우울감과 낭패감을 박박 닦아낼 수 있는 것이라는 강력한 느낌이 들었다. 청소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그 때를 난 느꼈고 그리고 스스로가 만든 벽에 용감하게 도전하였다. 그래서 나의 작품, ‘청소하는 방’이 탄생하였고, 이 작품은 굵직한 쇼에 당선할 수 있었던 나의 대표적인 작품이 되는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 역시나 싱크대 속의 솔이 나의 그림을 그리게 하였고, 그리고 내 그림의 솔이 나의 우울감과 낭패감을 씻어내고도 날 가라앉는 싱크대 밖으로 나오게 하였다.
어쩌면 내가 가야 할 길은 정물화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난 새로운 도전을 계속 하고 있는 중이다. 얼굴과 사물들을 함께 그림으로 현대적인 정물화라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들어서고 있으며, 풍경 속의 사물을 그림으로 그 영역을 확대함으로 시야가 더 넓어짐을 느낀다. 대학시절 정물화에 집중을 하였기에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초상화를 나의 얼굴로 해서 시작한 것은 도전이었다. 초상화에 도전을 함으로써 익스프레션과 초현실주의에 눈을 뜨게 되었고, 결국 자신이 사실적인 접근으로부터 시작해서 추상화의 요소까지 갖춘 하이브리드 작품에 난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나의 작품, ‘In the Glove Factory’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겠다. 내 스튜디오가 있는 건물의 이름이 ‘글로브 펙토리’이다. 난 이곳에서 육년이 넘는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수 많은 장갑들을 사용하였다. 장갑이 없는 창작활동은 있을 수 없는 일처럼 장갑을 자주 사용하기도 하고, 그것은 내 창작 활동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물이기도 하다.
스튜디오에서 수 많은 시간을 보내어도 내 그림은 그럭저럭할 것 같은 불안감과 두려움을 자주 만나는 것도 사실이다. 바로 그때, 역시 난 언제나 필요한 고무 장갑을 그려 넣었다. 언젠가 나의 수고롭고 힘든 시간이 보상받을 때가 있으리라는 생각뿐만 아니라, 꿈을 꾸기에 날마다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다.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사는 보통사람들 그들이 생각났다. 그림을 그려라, 돈이 필요하지 않는 것처럼! 그리고 이 작품은 내 인생에 있어서 처음으로 ‘64 arts show(2011)’에서 그림부분 페인팅상을 받게 되기도 하였다. 고무 장갑 하나가 내 인생을 바꾼 사실의 예다. 그 후로 난 내가 믿고 있는 사실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바로, 그림은 우리가 사는 모습이라는 것을.
나의 작품, ‘Rolling in the dark’과 ‘lingering’ 이 작품은 비슷한 시기에 그려낸 좀 색다른 작품이라 말할 수 있다. 첫 번째, ‘rolling in the dark’의 작품에선 내 안에 있는 욕망을 표현하고 싶었다. 아니면 열정! 그리고 나의 그림이 한계를 쉽게 만들지 않고 열린 그림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그렸다. 인식할 수 있는 사물을 그렸지만, 오히려 환상적인 분위기를 형성된 것에 만족하며 붓을 놓았다. 왜냐하면, 때로는 실제 감이 환상보다 더 환상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이미지는 아는 교수님의 전시회를 준비하는 중에 직감적으로 나의 그림의 소재가 될 만한 순간을 포착하여 그린 작품이기도 하다. 하나의 사물을 그리는 것이 얼마나 뚜렷한 컨셉을 필요로 하는가를 배웠던 그림중의 하나이다.
‘Lingering’ 이 작품 또한 추억 어린 나의 사진을 보고 그린 작품이다. 사진 속의 나는 하늘을 날고 있는 모습으로 신나고 즐거운 모습이었지만, 그 사진을 보고 있는 현재의 나는 더 나이가 깊이 들었고, 그리고 현실적으로 사람으로부터 상처를 많이 받고 있을 때였다. 상처 난 현실을 보고 싶지 않았던 그때에 난 나의 마음과 아랑곳하지 않고 행복한 색을 골라 그림을 그렸다. 내가 연연해 하는 것들에 대한 실망, 아니면, 이런 저런 모습으로 얽혀 있는 모습을 그렸기 도 하고 무엇보다 정물화를 그리기 위해 셋팅을 하다 보며 겪는 사물들의 한계를 벗어나 그 영역을 하늘로, 크기가 있는 사물로 확대했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하늘에 매달려 있는, 엄밀히 말하면 땅에 매달려 잠시 공중에 떠있던 장면이기도 하다. 이 작품을 통해서 난 나의 그림이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추상과 구상, 그리고 풍경화, 초상화, 그리고 정물화까지.
나의 사물들은 언제나 나의 현실적인 삶의 테두리에서 선택된다. 고무장갑처럼 난 날마다 내 삶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진 도구들을 초상화에 접목을 시켜보기도 하고, 그리고 그 사물들이 나와 함께 있으므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그들이 말하고 있음을 본다. 가장 최근 작품중의 하나인 ‘I am a lady’ ‘I hear you’, ‘I see You’를 말하자면, 연장 도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내 삶의 연장들을 그리므로 나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사물들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음을 보았다. 귀마개를 하고 있는 나의 모습은 역설적이고 아이러니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귀를 막았지만, 언제나 들리는 것이 무엇인가! 라는 것이다. 그것은 진실의 소리일 것이고, 저항 할 수 없는 것일 것이다. 또한 젊은 친구들과 친구 맺기가 어려운 나로서는 때로는 처절한 고립감을 느낄 때가 있다. 듣고 싶지 않은 나의 쓸쓸한 뒷 애기가 소음처럼 들리는 것을 귀를 막는다 해도, 느껴지는 외로움을 어찌해야 하는 지 알 수 없는 그 순간에 난 이 그림을 그렸다.
‘I See You’이 작품 속의 난 가장 적극적인 나를 표현했다 할 수 있다. 흰머리 덮이고 있는 머리를 감추고, 구굴을 쓴 난 이제 언제든 찾아 올 우울이나 낭패감에 대한 준비가 된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중년에 찾아온, 아니 찾아 여성으로서의 장이 끝난 듯한, 좋은 시절은 다 간듯한, 인생의 후반부로 접어드는 그 느낌이 깊은 바다와 같이 깊을 적에 난 가라앉는 것이 아니라 그 깊은 바다에서 수영할 준비가 되어 있는 지도 모르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그림을 그렸지만, 나의 그림은 내가 미쳐 알아내지 못한 사실을 내게 깨우치게 한다. 난 그림을 그리므로 스스로 겪어야 할 그림과의 전쟁에 준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가 누구인가라는 답을 분명하게 찾아가고 있다.
지금 나의 그림은 시간과 함께 변하고 있고, 나 또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정물화에 대한 나의 사랑은 멈출 수 없다. 정물화로 시작한 나의 화가로서의 길에서 정물화는 언제나 내 마음속의 고향처럼 내 마음 깊은 곳에 언제나 붉은 벽돌로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화가로서 난 나의 정물화를 그려내고 싶은 꿈이 간절하다. 가장 나다운 그림을 그리는 것을 나 또한 소망한다. 어쩌면, 돌아오기 위해 길을 떠나는 지도 모를 낯선 곳으로 여행을 하였고, 그리고 그 낯설고도 서투른 여행길이 아무 의미 없는 시간이라 생각하지는 않는다. 긴 한숨과 깊은 좌절이 있기에 나의 그림에 깊이가 있어지고, 세상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을 배움으로 해서 더욱 강하고도 힘있는 정물화를 그릴 수 있기를 소망한다.
Monday, January 02, 2012
From 2011 To 2012
긴장을 너무 풀었나 보다. 시간이 벌써? 새로운 해가 되었다며, 새로운 다짐도 하고 뭐 그렇게 시작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일단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던 소중한 습관이 완전 출장을 가고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 드높은 아침을 보는 것이 엄청 부담스러워 다시 침대로 들어가는 너무 좋지 않은 습관을 빨리도 익혔나 싶다. 심지어 정규적인 인터넷 활동을 하지 않아 몇개의 비밀번호가 엉켜 노후하는 모습에 잠깐 놀라는 일까지 겪다 보니, 더 이상은 안되겠다 싶어 이렇게 컴 앞에 앉아 있다.
유익한 책을 좀 읽겠다는 각오와 달리 재미난 한국 영화를 수십편을 보았나 보다. 잘생긴 배우님들이 나오는 깡패영화를 보다보니, 재미는 있지만서도 왠지 모를 불안함이 밀려왔던 느낌은 좀 이색적인 것이기도 하였다. 한국엔 깡패만 있다하겠다 싶어 은근히 걱정이 되기까지 하였을 정도이다. 그리하여 깡패영화 말고 좀 낭만영화를 봤더니, 흥행에 실패했겠다 싶었다.
몇주동안 집중적으로 한국영화를 보다보니, 어설픈 나의 영어가 다 출장간 느낌을 아는 가! 당분간 영어를 정말 쓰고 싶지 않았던 것인지...폐인처럼 그렇게 해의 끄트머리를 보낸 것이 마음에 자꾸 걸린다. '워크 홀릭' 아니 '그림중독' 뭐 그런 말에 친숙한 내가 어찌 이리도 심하게 볼품 없이 망가질 수 있단 말인가. 머리도 감지 않고 뭐 그렇게 집에 박혀 그냥 컴영화만 보고 있는 모습! ㅎㅎㅎ
운동도 하고 사이 사이 영화도 보고 뭐 그렇게 해야되지 않나 했지만, 한번 늘어진 몸과 마음은 그냥 '브레이크'다며 늘어진다.
드디어, 엄마가 해주는 맛난 음식 먹고싶다는 큰 아들, 볼멘 소리로 외친다. 엄마, 너무 하시는 것 아니야요!!! 며칠 맛난 것 해줬냤냐? 하며 응대는 하였지만서도 정말 학생 생활 오래하고 있는 엄마도 브레이크 하고 싶고 그리고 나도 누가 해 주는 밥도 먹구 싶다아아!
맛있는 피자를 날마다 시켜 주었더니....ㅎㅎㅎ 막 화를 낸다. 풋볼 선수 라인맨의 몸의 역사를 지워낸 울 큰 아들의 유쾌하고도 건강한 진보에 어찌 기쁘지 않겄냐마는 나도 쉬고 싶다는 게으른 몸의 유혹에 나 엄마로서 빵점 기록하고 만다.
성탄맞이 김치도 다 떨어지고, 울 큰 아들 집을 떠나고, 덩그랗게 작은 아들과 덩그랗게 남고 보니, 마음이 휑하고 바람이 분다. 그래서 밥 묵었다. 그리고 커피까지.
이천 십일년은 많은 것을 내게 준 해였다. 우리 가족 모두에게 작은 역사가 있었던 해이기도 하였던 것 같다. 먼저 울 큰 아들은 이십년 동안 무겁게 달고 다녔던 몸무게에 혁신을 가졌고 그리고도 진행중이고, 울 작은 아들은 이곳 학교에 진학해서 착실히 자신의 꿈을 키우는 기초를 잘 만들고 있고, 우리집 기둥인 남편님 또한 회사 발전을 위한 커다란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어냈고, 나 또한 이곳 국전과 인터네셔날 전시회에 이름을 적혀 보기도 하였다.
누군가가 나의 그림을 인정해 주는 기회를 갖느 것 그것 싶지 않은 일임에 틀림없다. 그점에 있어서 그 늦여름의 수상 소식과 초 가을의 상을 받았을 때의 그 느낌은 이른 봄날의 바람과 여름 날의 뜨거운 목마름을 잉태하지 않고서는 절대 일어 날 수 없었던 나의 작은 기적이 만든 가슴 벅찬 가득참으로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위기를 찬스로 만들 수 있게 항상 격려와 위로를 잊지 않았던 나의 가족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특히나, 내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넘어지던 때에 나를 일으켜 세웠던, 존경하는 교수님과 그리고 나의 가족! 그러네! 구체적인 도움을 주었던 나의 튜터, 크리스!
여름 방학 이주동안 만들었던, 모노 프린트의 걸작(?) 섬씽 라이크 해피니스! 그때는 몰랐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 값어치가 더욱 있어 보이는 나의 모노 프린트!
무엇보다, 나의 안되는 영어를 사랑스럽게 감싸안고 한학기를 잘 버팅겨준 나의 컴뮤니캐이션 드로잉 클라스의 열 일곱 명의 학생들에게도 고마운 말씀을 잊지 앟고 싶다. 그들은 나의 그들을 향한 나의 첫사랑을 모를 수 도 있을 것이다. 워낙 나의 영어가...ㅎㅎㅎ
좌충우돌, 헬갈리는 콩글리스로 카리스마를 풍기는 나이 노후한 엄마벌의 티에이를 용서하던 그들이 있었기에 나 무지 행복했다. 그들이 나의 쓰러진 자만심과 실종된 자존심을 찾게 해 준 소중한 그들이었다. 그리고 여전히 그들이기도 하다.
그러네! 감사할 일들이 정말 많은 이천 십일년을 또 하나의 행복한 이천 십이년으로 꾸려 나갈 것이다. 울 큰 아들이 졸업을 하여 한국에 갈 것이고, 그리고 군대를 갈 것이고, 그리고 나의 작은 아들과 난 이곳에서의 학생시절을 새로운 출발을 위한 맺음으로 단단히 해야 할 것이고......
아니 벌써, 시간이...
'베르베르'의 '웃음'을 지는 해의 끝을 잡고 읽었다. 긴 겨울밤에 물론 잠을 청하기 위한 독서이기도 하였지만서도.
이천 십이년에도 웃을 일이 많았으면 좋겠다하면서...